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SEASON TWO

  • SEASON TWO MINHWA 민화

    SEASON TWO
    MINHWA
    민화

    민화는 조선 시대 민중들의 삶의 안녕과 소망을 주제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한 대중적인 그림 양식입니다.
    호랑이, 용, 연꽃, 모란, 책거리 등 다양한 동식물과 사물을 상징적으로 활용하여 개인의 바람을 담아냈으며,
    대담하고 자유로운 구성과 색채가 특징입니다.

    Minhwa is a Korean folk art that emerged from everyday life during the Joseon Dynasty, expressing
    wishes for peace and prosperity. Featuring symbolic motifs like tigers, dragons, lotus flowers, peonies,
    and bookshelves, it is known for its bold compositions and vibrant colors.

  • 산을 품은 자리 작품 상세 이미지 1
  • WHERE THE MOUNTAIN HOLDS YOU 산을 품은 자리

    SEASON TWO GRAND PRIZE

    WHERE THE MOUNTAIN HOLDS YOU
    산을 품은 자리

    2025 | POLYSTYRENE, SHEARLING, ACRYLIC, BIRCH PLAYWOOD

    250 × 180 × 110

  • TEAM YEON 연

    TEAM YEON (연)

    • 조경서 Gyeongseo Cho
    • 나혜련 Hyeryeon Rha
    • 안제인 Jane An
    • 차다니엘 Daniel Cha

    산은 늘 멀리서 바라보는 존재이면서도 때로는 우리를 품는 자리였다. 민화 속 산은 풍경이 아니라 삶을 감싸는 배경이자 중심이었다.
    오늘 우리는 그 산의 품을 소파 위에 옮겨 두고자 한다. 앉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형상 속에서 민화의 자유로운 아름다움은 순간마다 포착되고,
    재료와 손의 흐름이 빚은 우연의 조형은 오늘의 감각으로 스며든다.

    The mountain, long gazed upon from afar, becomes a place that embraces us. In Miwhwa, it is not mere scenery but the center of life—translated into the form of a sofa.
    Its spontaneous forms and natural aesthetics merge with contemporary living.

  • 산을 품은 자리 상세 이미지 1
  • 산을 품은 자리 작품 상세 이미지 2
  • 산을 품은 자리 작품 상세 이미지 3
  • 산을 품은 자리 작품 상세 이미지 4
  • YEON | 산을 품은 자리 WHERE THE MOUNTAIN HOLDS YOU 상세 영상
  • YEON | 산을 품은 자리 작업 과정 영상
  • BAEKNAP, TALES CROSSED ON FOOT 백납보래담

    BAEKNAP, TALES CROSSED ON FOOT
    백납보래담 百納步來譚

    2025 | HANDMADE HANJI, MINERAL PIGMENTS

    240 x 180 x 4

  • TEAM HWAEUI 화의

    TEAM HWAEUI (화의)

    • 유수민 Soomin Yoo
    • 김윤수 Yunsu Kim
    • 이소연 Soyeon Lee
    • 류지안 Jian Ryu

    백납보래담은 '민화의 조각들이 걸어와 만나 모이는 이야기' 라는 의미로, 길상의 의미에 묶여 있던 동식물을 주체적인 존재로 변화시킨다.
    전통 분채에 현대 잉크의 장점을 녹여 제작한 '분채 잉크'로 판화를 표현하고 닥 섬유를 풀어 한지의 질감으로 병풍 표면을 완성함으로서
    전통의 재료에 현대의 흐름을 담아냈다.

    Baeknap Boraedam, meaning "a story where pieces of Minhwa walk and gather," reimagines auspicious
    animals and plants as independent beings. It uses Bunchae ink, blending traditional pigment with modern
    ink, and Dak fibers to create Hanji-like textures. Traditional materials meet contemporary flow, breathing
    new life into the folding screen.

  • 백납보래담 작품 상세 이미지 1
  • 백납보래담 작품 상세 이미지 2
  • 백납보래담 작품 상세 이미지 3
  • 백납보래담 작품 상세 이미지 4
  • HWAEUI |백납보래담 百納步來譚 (BAEKNAP, TALES CROSSED ON FOOT) 상세 영상
  • HWAEUI |백납보래담 百納步來譚 (BAEKNAP, TALES CROSSED ON FOOT) 작업 영상
  • FROM DREAM TO DAWN 여움, 이룸

    FROM DREAM TO DAWN
    여움, 이룸

    2025 | STAINLESS STEEL, WOOD(MAPLE), SILK, ACRYLIC

    여움 160×80×50/ 이룸 45×35×170

  • TEAM HOSHIM 호심

    TEAM HOSHIM (호심)

    • 임유찬 Yuchan Lim
    • 이예성 Yeseong Lee
    • 이경은 Gyoungeun Lee
    • 김태윤 Taeyoon Kim

    소망의 예술인 민화를 변치 않는 길상의 상징, 해와 달로 빚어냈다. 해는 일출이 완성되는 순간 음악과 함께 하루의 시작을 알리고,
    달은 행운의 상징인 까치를 손에 쥐어 소망을 빌 때 빛을 밝히며 하루를 마무리하게 한다.

    We shaped the art of wishes, Minhwa, into the eternal symbols of sun and moon. As the sun completes its
    rise, music drifts in to greet the newborn day. The moon glows softly when the magpie of fortune rests in
    your hands, carrying your wishes into the night.

  • 여움, 이룸 작품 상세 이미지 1
  • 여움, 이룸 작품 상세 이미지 2
  • 여움, 이룸 작품 상세 이미지 3
  • 여움, 이룸 오디오 인터페이스
    Music 여움
    Composed by 강지석
    해를 돌리면 하루의 문을 여는 음악이 재생됩니다.
    When you turn the sun, music that opens the door to a new day begins to play.

    오디오 설명: 음악 제목은 '여움'이며, 작곡가는 강지석입니다.

  • 여움, 이룸 작품 상세 이미지 4

    까치에 잠시 손을 올리면 소망을 이뤄주는 달이 떠오릅니다.

    When you gently place your hand on the magpie for three seconds, a wish-bearing moon begins to rise.

  • 여움, 이룸 작품 상세 이미지 5
  • HOSHIM | FROM DREAM TO DAWN
    여움, 이룸 상세 영상
  • HOSHIM | FROM DREAM TO DAWN
    여움, 이룸 작업 영상
  • BOKGADO 복가도

    BOKGADO

    복가도

    2025 | STAINLESS STEEL, WOOD(MAPLE), SILK, ACRYLIC

    여움 160×80×50/ 이룸 45×35×170

    SPONSORED BY SULWHASOO

    복가도 상세 영상
  • TEAM DA-ALL 다올

    TEAM DA-ALL (다올)

    • 박주찬 Juchan Park
    • 김유진 Yujin Kim
    • 박경민 Kyungmin Park
    • 최하연 Hayeon Choi

    사람들의 삶 속 염원을 상징적으로 그리던 민화, 그 중심에는 '복'의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 '복가도'는 백수백복도를 오늘날의 시각 언어로 재해석한 작업으로,
    총 100개의 복을 제작해 모양은 수백가지여도 복을 향한 마음은 하나임을 전달한다. 시대를 초월해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온 복을 표현해
    현 시대에도 생명력 있는 가치임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Minhwa, Korea's traditional folk painting, has long symbolized people's hopes with Bok (blessing) at its center. Bokgado reimagines the traditional Baeksu Baekbokdo by creating 100 versions of Bok.
    Through this work, Bok is presented as a timeless value.

  • 복가도 전면 상세 영상
  • 복가도 상세 영상
  • 복가도 상세 영상
  • 복가도 상세 영상
  • 복가도 상세 영상
  • DA-ALL (다올) | 복가도 작업 영상
  • 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전시회 전경
  • CULTURE PROJECT SEASON TWO EXHIBITION

    CULTURE PROJECT SEASON TWO

    EXHIBITION AT HOUSE OF SULWHASOO

    2025.09.02 - 2025.09.14

  • CULTURE PROJECT SEASON TWO
  • 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전시회 작품 전시 모습
  • CULTURE PROJECT SEASON TWO
  • 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전시회 작품 전시 모습
  • CULTURE PROJECT SEASON TWO
  • 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전시회 작품 전시 모습
  • CULTURE PROJECT SEASON TWO
  • 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전시회 작품 전시 모습
  • CULTURE PROJECT SEASON TWO
  • 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전시회 작품 전시 모습
  • Sulwhasoo CULTURE PROJECT

    Sulwhasoo

    CULTURE PROJECT

    발행일
    2025년 10월
    발행처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프로젝트 총괄
    설화수 Culture Activation팀 박소연 오하나
    컨텐츠 제작
    설화수 Brand Activation팀 송의주 정리리
    마인드앤디테일 한윤정 이혜지
    포토그래퍼 천도성
    영상 촬영 감독 이종흔
    북촌 전시 주관
    설화수 Brand Design팀 이경화 손강혁
    설화수 한국사업팀 김수정 김다운
    미디어 패널 협찬
    주식회사 원오프
  • 설화수 컬쳐 프로젝트 전시회 마무리
LIST